지난번 글에 PM2로 무중단 서버 구현을 포스팅 했었다.2024.05.23 - [Node.js] - [Node.js] PM2로 무중단 서버 구현해 보자 [Node.js] PM2로 무중단 서버 구현해 보자PM2가 무엇이냐?Node.js 프로세스 관리 도구라고 생각한다. Node.js 서버 가동 중 오류 발생으로 종료되면 자동으로 재시작해주고 nodemon처럼 수정내역을 바로 반영시켜 서버를 재 시작할수있다. pmhgramdev.tistory.com 위의 포스팅대로 무중단 서버를 운영중이던 도중내가 구현한 API중 파일을 주고 받는 API의 요청이 많아질경우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원인이 무엇이냐..?PC의 사양? Intel Xeon(R) Gold 5220을 사용중이다. 원인은 Node.j..
PM2가 무엇이냐?Node.js 프로세스 관리 도구라고 생각한다. Node.js 서버 가동 중 오류 발생으로 종료되면 자동으로 재시작해주고 nodemon처럼 수정내역을 바로 반영시켜 서버를 재 시작할수있다. pm2 설치npm install pm2 -g 터미널에 입력만 해주면 설치된다. pm2로 서버실행pm2 start app.js여기서 app.js던 index.js던 main js파일을 실행해주면된다.정상적으로 실행되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프로세스 목록에 올라온다. pm2로 서버 실행시 코드 수정내역을 감지 하여 자동으로 재시작하도록 실행(nodemon 처럼 사용)pm2 start app.js --watch뒤에 --watch 를 붙여주면된다. pm2 프로세스 리스트 확인pm2 list위에 서버 실..
mssql insert문 데이터 삽입 1편을 보고 와도 좋다. https://hgramdev.tistory.com/4 [MS-SQL] Insert문 데이터 삽입 데이터 삽입 방법은 다양하다. [MS-SQL] Create Table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t null default(0) ) 간단한 이름과 반을 담아 둘 수 있는 테이블 hgramdev.tistory.com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
데이터 삽입 방법은 다양하다. [MS-SQL] Create Table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t null default(0) ) 간단한 이름과 반을 담아 둘 수 있는 테이블이다. 정말 간단히 Create Table = 테이블을 만들겠다. TB_Student라 hgramdev.tistory.com 테이블 생성 편에서 생성한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해 보겠다. insert TB_Student(name, class) values ('HGR', 1) Insert [테이블명](컬럼명, 컬럼명) values (데이터, 데이터) 위와 같이 해당 테이블의 컬..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t null default(0) ) 간단한 이름과 반을 담아 둘 수 있는 테이블이다. 정말 간단히 Create Table = 테이블을 만들겠다. TB_Student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이테이블들의 컬럼은 괄호 안에있다. 라고 생각 하면된다. 첫번째 컬럼부터 설명하면 [idx] int not null identity(1,1) 테이블에 아이디 열을 생성하기 위해 idx라는 컬럼을 int로 선언하고 identity(1,1)을 넣어준다. identity(1,1)란 1씩 자동증가함을 의미한다. [name] nvarchar(10) [name..
본 포스트는 Devexpress 23.1 버전을 사용한다. 늘 혼자 개발하기 때문에 난 Winforms을 쓴다. 그래도 예쁘게 만들고싶기 마련 ListBoxControl에 html을 입혀 보았다. 요것이 완성된 작업물 Html Template 적용이 최신버전 부터 적용이 되어서 그런지 공식문서 말고는 참조할 만한게 없었다. https://docs.devexpress.com/WindowsForms/119680/controls-and-libraries/editors-and-simple-controls/templated-listbox-items 위의 공식문서를 참조해보는것도 좋다. ListboxControl을 Form에 올리고 속성 창을 보면 HtmlTemplates라는것이 있다. [...]을 눌러보자 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