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삽입 방법은 다양하다.
[MS-SQL] Create Table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t null default(0) ) 간단한 이름과 반을 담아 둘 수 있는 테이블이다. 정말 간단히 Create Table = 테이블을 만들겠다. TB_Student라
hgramdev.tistory.com
테이블 생성 편에서 생성한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해 보겠다.
insert TB_Student(name, class)
values ('HGR', 1)
Insert [테이블명](컬럼명, 컬럼명)
values (데이터, 데이터)
위와 같이 해당 테이블의 컬럼과 해당 컬럼에 들어갈 데이터만 지정해 주면 된다.
자 이제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자
Create Table TB_Student(
[idx] int not null identity(1,1),
[name] nvarchar(10),
[class] tinyint not null default(0),
[birthday] nvarchar(10) not null
)
위와 같은 스키마의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해보겠다.
첫번째 [idx] 컬럼 not null 이다. Null 값이 허용되지 않는다. identity(1,1)이 사용되어 이 열은 따로 insert 문에 컬럼과 데이터를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1씩 증가하는 숫자열이다. identity열은 insert문에 지정을 하면 오류가 난다.
두번째 [name] 컬럼 null을 허용한다. Insert 문에서 딱히 컬럼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insert TB_Student(class, birthday)
values (1, '1994-02-21')
위와 같이 name를 지정하지 않고 insert 문을 사용하면
name 열에는 Null이 들어간다. not null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널값이 들어갈 수 있다.
세번째 [class] 컬럼 not null 이다. null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Default(0)이란 따로 입력값이 주어지지 않을때 기본으로 0을 넣겠다 라는뜻이다.
insert TB_Student(name, birthday)
values ('HGR', '1994-02-21')
위와 같이 [class] 컬럼을 지정하지 않고 insert 문을 사용하면
[class] 열에는 내가 테이블 생성시 default로 지정해놓은 0이 들어가 있다.
네번째 [birthday] 컬럼 not null이다. null 값을 허용하지 않으며 identity나 default가 따로 적용되지 않았다.
insert TB_Student(name, class)
values ('HGR', 1)
위와 같이 [birthday] 컬럼을 지정하지 않고 insert 문을 사용하면
오류가 난다.
기본 Insert문 사용법을 알았으니 다음 시간에는 여러 데이터 넣을 법을 알아보자.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Insert문 데이터 일괄 삽입 (0) | 2024.01.10 |
---|---|
[MS-SQL] Create Table 테이블 생성 (0) | 2023.12.15 |